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에는 3D(DNA, Digital, Design)시대로 DNA, Digital, Design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그중 오늘날에 있어서 디자인의 가치는 점점 부각이 되고 있으며,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 맞춰 단지 미적인 요소가 아닌 기업의 경영 전략과 이미지 강화를 위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들어 기업이미지 관리라는 주제를 다룰 때 빼놓지 않고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하는 것이 CI(Corporate Identity)란 단어이다. CI는 단순히 기업의 심벌마크(Symbol Mark)나 로고(Logotype)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기업의 이미지 강화와 존재를 부각시키고 부가가치를 창조할 수 있도록,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CI란 Corporate Identity의 약자로 기업이나 공공단체 또는 더 나아가 특정 집단이 지니고 있는 고유의 목적, 활동, 이념 등의 총체적인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체계화하는 작업이라 정의된다. CI는 VI(Visual Identity)뿐만 아니라 MI(Mind Identity)와 BI(Behavior Identity)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새로운 CI 도입을 통해 기업은 이미지와 지명도가 제고됨은 물론, 그로 인해 매출이 증가하고, 인재 확보가 유리해지며, 전사원의 애사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등의 바람직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은 CI의 요소 중 하나인 VI(Visual Identity)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기 위한 연구이다. 심벌마크, 심벌마크의 색깔 등이 기업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측정해보고, 기업이미지가 브랜드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국내 금호아시아나 항공사와 국외 항공사를 대상으로 한정하여, 항공사를 평가하는 여러 가지 기준 중에서 항공사를 나타내는 심벌마크(Symbol Mark)를 통해,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이미지와 기업 이미지를 강화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금호아시아나의 CI는 기업의 이미지 변화와 글로벌화를 위하여 변경을 하였지만 고객으로 하여금 좋은 호응을 얻지 못하였고, 다른 항공사의 CI보다 가독성이 떨어지고, 항공사의 Concept를 나타내는데 있어서 독자적이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기업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심벌마크 디자인 요소의 중요성을 다시 생각할 수 있다.
발행일 : 2006.12
발표지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4 no.2 통권 제7호
페이지 : pp.73-90
발행기관 : (사)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Design Behaviou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떡볶이 브랜드디자인이 소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0) | 2019.03.03 |
---|---|
[Article] Analysis for the improvement of Kumho Asiana Airlines identity (0) | 2019.03.03 |
[논문] 지역 이미지 상징을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의 연관성 연구 (0) | 2019.03.03 |
[Article] A Study of Christianity Cross Image As Christianity Sign (0) | 2019.03.03 |
[논문] 기독교 기호로써의 십자가 이미지에 관한 연구 (0) | 2019.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