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썸네일형 리스트형 [논문] 기능성 우유 패키지디자인과 형태재인의 관계성 고찰 : 대형할인점 PB(Private Brand)를 중심으로 사람의 오감 중 시각은 어떤 감각기관보다 발달되어 있으며, 사물을 인지하는 작용 중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소비자가 상품을 식별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시각에 의존하여 지각의 선택성을 통해서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결정된다. 형태재인(Pattern Recognition)이란 기억 활동 과정이며, 사람의 얼굴, 글자, 말의 내용을 인식하는 것으로 대상의 정체를 지각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사물의 정체를 파악하는 것을 형태재인이라 한다. 본 연구는 인지심리학의 형태재인을 통하여 국내 대형마트의 PB상품 중 기능성 우유를 소비자에게 인지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범위로는 첫째, 국내 대형마트 중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3개의 대형마트의 기능성 우유 상품 21가지를 조사하였다. 선.. [Article] Symbolism and semantics of christianity sign in the context to formative semiotics Signs have a great influence on human lives. Humans convey their though and information through signs. As for Christianity, Christian signs play a role in communicating and conveying information of Christians. Furthermore, they help to make understanding of Christian ideology in the aspect of religion. However, Christian signs which have importance as Christian meanings have not the established .. [논문] 기호조형 맥락에서 본 기독교 기호의 상징성와 의미성 기호는 인간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인간은 기호를 통하여 생각과 정보를 수집하고 전달한다. 기독교에 있어서 기독교 기호는 기독교인의 소통과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더 나아가 신앙적인 면에서는 기독교 이념을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그러나 기독교적 의미로써 중요성을 지니고 있는 기독교 기호는 이론적 체계화 및 시각적 정리가 되어 있지 않았으며, 그 상징성과 의미성에 대하여 정확히 논의되지 않았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독교 기호의 상징성과 의미성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기호의 상징성과 의미성을 재조명하고, 시각요소를 통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디자이너들에게 기독교 기호가 정확히 사용될 수 있도록 정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시각요소로 메시지를.. [논문] 그림책 표지의 시각적 구성요소에 대한 사례 분석 : 2017~2018년 베스트셀러를 중심으로 그림책은 모든 영·유아들이 처음으로 접하는 책이다. 그림책은 그림은 새로운 시지각 영역을 깨닫게 하고, 그림과 글의 조합으로 인하여 아이들에게 효과적으로 내용을 파악하게 되어 있다. 이에 맞춰 그림책의 그림과 글은 창의적이고, 다양해야 한다. 본 연구는 그림책 표지의 시각적 구성요소를 연구함에 있어서 그림책 표지디자인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편집디자인 측면에서의 레이아웃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조사 분석을 진행했다. 따라서 레이아웃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국내 2017-2018년 베스트셀러 그림책 9개를 분석하였다. 디자인 분석을 1, 2차로 나눠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1차로 편집디자인 관점의 레이아웃인 이미지, 타이포그래피, 컬러, 레이아웃 등을 분류하였다. 2차로 이미지는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 구상적과.. [논문] 비실기전형 학생들을 위한 디자인 교육방법론 연구 : 디자인 스케치 수업을 중심으로 다변하는 대학의 디자인 교육 정책에 따라 대학의 대부분이 기존의 입학전형을 대대적으로 변경하고 있다. 특히, 대다수의 대학들이 내신성적과 실기전형으로 진행하였던 입학전형을 실기전형으로 바꾸고, 실기전형만 있던 대학들은 비실기전형을 만들어 진행하는 경우도 생겨나기 시작됐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다변하는 디자인 교육 정책 에 대응하여 비실기전형 학생들과 실기전형 학생들의 디자인 스케치 수업을 되짚어보고, 효과적인 디자인 교육을 위하여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려 한다. 먼저, 경기도에 위치한 디자인전공 학생들을 중심 으로 비실기전형과 실기전형 학생의 디자인 스케치 능력에 대한 관계성을 알아보았다. 디자인 검사 지도 안 작성시, 1차로 디자인 스케치 평가요인에 대해서 디자인 스케치의 형태의 정확성, 구도의.. 이전 1 2 다음